본문 바로가기

문화

택시운전사...기본에 충실한 서민들이 만든 광주민주화


감독 장훈

각본 엄유나

출연 송강호 (서울 택시운전사 김만섭 역), 토마스 크레취만 (독일기자 위르겐 힌츠페터(피터) ), 유해진 (광주 택시운전사 황태술 역), 류준열 (광주 대학생 구재식 역)

개봉 201782

관람등급 15세이상관람가

러닝타임 137


8월 2일 개봉하는 영화 <택시운전사>를 두고 관심이 뜨겁습니다. 이유는 광주민주화항쟁을 새롭게 조명했기때문입니다. 하지만 지금 왜 다시 19805월 광주일까요?’  이러한 원론적 질문 이전에 영화 <택시운전사>는 사람들의 이야기에서 시작합니.

 

낡은 택시 한 대가 전 재산으로, 홀로 어린 딸을 키우는 서울의 평범한 택시운전사 김만섭’(송강호). 그는 택시비를 벌기 위해 광주에서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 모른 채 외국 손님을 태워 광주로 향합니다. 그의 택시를 타게 된 독일기자 위르겐 힌츠페터(피터)’(토마스 크레취만)사건이 있는 곳은 어디든 가는 것이 기자라고 담담하게 말하고 있습니. 이 둘의 공통점은 인간의 기본적인 도리에 충실하다는 점이다. 택시비를 받았으니, 손님을 목적지까지 무사히 태워줘야 한다는 만섭의 도리와 고립된 광주에서 벌어지고 있는 일을 알려야 한다는 피터의 도리에서부터 <택시운전사>는 출발하지요.

 

그들이 만나는 광주 사람들 또한 마찬가지 입니다. 가장이자 아빠인 소시민 택시운전사 황태술’(유해진)과 평소 운동권도 아니었던 평범한 광주 대학생 구재식’(류준열). 그러나 양심과 상식, 인간의 도리 면에서 이들은 자기가 할 수 있는 일을 합니. 비장한 사명감이나 신념 이전에 사람이 해서는 안 되는 일에 맞서서 사람으로서 자기가 해야 할 일을 할 뿐이죠.

 

이러한 <택시운전사> 속 인물들을 통해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라는 소박하지만 근본적인 질문을 던져봅니.  그리고 평범한 사람들인 그들의 이야기가 내가 저 자리에 있었다면?’이라는 질문으로 연결되며, 비단 과거 속 남의 일이 아닌 현재, 우리의 일일 수도 있다는 점을 시사하며 큰 울림을 전할 것입니.